본문 바로가기

농촌진흥청6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높은 배추 자원 선발 안녕하세요, 준수한 생각입니다. 농업유전자원센터 보유 배추속 1,340작물 분석해 6자원 발굴 농촌진흥청이 농업유전자원센터를 통해 수집한 배추속 유전자원 중 글루코시놀레이트가 풍부한 6종을 선발했다고 발표했다고 해요. 이에는 배추, 갓, 브로콜리, 케일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식재료들입니다. 특히 배추는 한국에서 김치의 주 재료로 사용되며 국내 재배면적이 약 2,700헥타르에 이릅니다. 이러한 배추속 작물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 물질은 항암, 항염증, 항산화, 심혈관 건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는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UPLC-MS/MS)를 활용하여 보유 중인 1,340개의 배추.. 2024. 2. 24.
채소용 고구마 ‘통채루’ 이렇게 재배하세요 안녕하세요, 준수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이 소개하는 특별한 채소, '통채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 ‘통채루’, 껍질 부드러워 껍질째 통째로 먹을 수 있어 '통채루'는 고구마의 새로운 채소로, 잎자루 껍질이 부드러워서 그대로 먹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이러한 '통채루'를 시설에서 재배하는 방법과 관리에 대한 소개를 농촌진흥청이 해주고 있답니다~!! 씨고구마는 2월 중순에 심기 시작되며, 이전에는 1월 중순부터 미리 싹을 틔워주는 작업이 필요해요. 이때 충분히 발효된 두엄(퇴비)와 질소, 인산, 칼리를 토양에 섞어주는데, 이는 토양의 영양 공급을 돕고 좋은 수확을 이끌어내기 위함이라고 해요. 시설재배 할 때 심는 간격·비료 .. 2024. 1. 24.
‘짠 곳에서도 성장’ 식물 유전자, 배추 적용해 내염성 확인 안녕하세요 여러분! 농촌진흥청에서 새로운 소식이 있어서 함께 알아볼게요. 🌿🌾 걸프만 습지에 서식 중인 식물 ‘비에너티아’ 유전체 해독해 배추에 적용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연구에서는 걸프만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 '비에너티아'의 유전체를 성공적으로 해독하고, 비에너티아가 지니고 있는 특별한 내염성 유전자 HKT1을 분석한 뒤, 이를 배추에 적용하여 배추의 내염성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내염성은 염분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식물이 발전하는 데 있어서 높은 저항성을 의미합니다.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토양 내의 염분 농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내염성 작물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하네요. 국제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 내염성 작물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 연구.. 2024. 1. 23.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 효과적인 예방법? 안녕하세요, 준수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 (PRRS) 예방에 대한 소식을 함께 알아보려고 해요. 🐷🌾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은 국내 돼지 사육 농가에서 주의를 요하는 질병으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농가들이 신경 써야 할 대상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질병은 유산을 비롯하여 번식 장애, 호흡기 질환, 성장률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특히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강하고 변이가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양돈농장에서의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랍니다. 현재 농장 상황 정확하게 파악하고, 외부 위험 요소 관리해야 미국과 중국에서 확산된 적이 있는 이 질병이 최근에 국내에서도 확인되었다는 소식에 농촌진흥청이 돼지 사육 농가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농장에서는 .. 2024. 1. 22.
겨울철 소 버짐병, 예방법은? 안녕하세요, 준수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겨울철 송아지 건강에 관한 정보를 함께 살펴보려고 해요. 겨울철에 흔히 발생하는 '소 버짐병'에 대한 전파 요인과 예방법 함께 알아봐요~!! ‘소 버짐병’… 피부사상균, 링웜, 윤선, 백선 등으로 불려 소 버짐병은 주로 송아지 시기에 발생하는 전염성 곰팡이 질환이라고 해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 질병은 링웜, 윤선, 백선과 같은 피부 문제를 일으키는데, 한 번 발생하면 주변의 소에 전파되어 재발할 가능성이 크답니다. 이로 인해 소의 성장이 늦어져 경제적인 손해를 입을 수 있어요. 버짐병에 걸린 소는 털이 빠지고, 둥글고 딱딱한 부스럼 딱지가 생긴다고 합니다. 특히 얼굴 부위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치료를 받지 않으면 피부에 흉터가 남을 수.. 2024. 1. 18.
동물실험 대체 돼지 간세포 오가노이드(미니 장기) 개발 안녕하세요, 준수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소식을 함께 공유해볼까요? 간 독성물질 투여로 해독 기능 확인 및 동물실험 대체 가능성 제시 농촌진흥청은 최근 돼지 간세포를 활용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돼지 간세포 오가노이드'라는 미니 장기를 만들어낸 거죠. 이 미니 장기는 기존의 2차원 세포배양 기술보다 훨씬 발전된 3차원 세포배양 기술을 사용했어요. 그 결과 세포의 기능이 향상되었고 수명은 3배나 연장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돼지 중간엽줄기세포를 사용하여 120일간의 장기배양에 성공했고, 이 미니 장기는 생체 간과 유사한 핵심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했다고 하네요. 이러한 돼지 간세포 오가노이드를 독성물질에 노출시켜보니 특이약물 분해 효소의 합성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 2024. 1. 16.